스킵 네비게이션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

트위터

페이스북

전통의 맥을 잇고 일상 속 공연 전시 문화를 넓혀 갑니다
마당의 공연기획은 시민과 함께하는 공연, 일상 속에서 즐기는 공연,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공연을 지향해왔습니다. 1989년 김명곤 창작판소리 <금수궁가>를 시작으로 김덕수 사물놀이, 노래를 찾는 사람들,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등 새로운 공연문화를 이끌어가는 공연자들을 전북지역에 소개했습니다. 1992년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전라도 전통공연예술의 산실이자 실력 있는 명인들을 발굴해 온 공연입니다. 1997년 시작된 가을날의 뜨락음악회는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연입니다. 2011년 시작한 목요상설공연은 일상 공간에서 즐기는 공연을 모토로 매주 목요일 밤을 지켜왔습니다.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
1991년 전라도의 숨어있는 명인들을 발굴하는 무대로 기획되었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명인들을 찾아 그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조명 받게 했으며 전통의 계승 뿐 아니라 자유로운 창작 정신을 발휘하는 예술무대를 꾸려왔습니다.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과거와 오늘, 내일이 연대하고 교류하는 우리 문화의 의미 있는 무대로 그 정체성을 지켜가고 있습니다.

연혁

하나 1992 전태준(대금) 강동일(거문고) 이성근(장고) 강정열(아쟁) 정회천(가야금)의「시나위 합주」나금추의「상쇠춤」김이월의「한량춤」김용순의「소고춤」장녹운의「살풀이」황귀언(설장고)·유만종(소고)·강대홍(소고)의「고창농악 설장고와 소고춤」
1993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이종대(태평소) 김방현(대금) 박한영(장고) 이태백(아쟁)의「시나위 합주」김광숙의「살풀이」김봉열의「상쇠춤」김옥순·김영례의「민요」일암 장상철 스님의「범패」봉서사의「영산작법」박병천의「북춤」
1994 전태준(대금) 강정열(아쟁) 이성근(장고) 한정순(거문고) 김계선(가야금)의「시나위 합주」박판열의「설장고」홍유봉의「채상소고춤」전금순의「씻김굿」장금도의「살풀이」김준영·원두희씨 외 80여명의「임실 상여소리」
1995 전태준(대금) 강정열(아쟁) 이성근(장고) 한정순(거문고)의「시나위 합주」이인수의「설장고」유지화의「쇠놀음」강송대의「전라도 육자배기」양태옥의「쌍채북춤」장녹운의「살풀이」우석대 김경주 무용단의「소고춤」
다섯 1996 전태준(대금) 강정열(아쟁) 김유앵(장고) 김계선(가야금) 한정순(거문고)의「시나위 합주」조공례의「남도 들노래」금파 김조균의「한량춤」한애순의「흥보가」유명철의「호남좌도굿의 상쇠놀음」박미진·박수량·박현희의「춤본Ⅱ」
여섯 1997 소리샘의「시나위 합주」박판열의「설장고」유명철의「상쇠놀음」양태옥의「쌍채북춤」박복남의「수궁가」전북도립국악원 무용단의「풍물소리와 춤」김상원·장영수·이종순의「위도 띠뱃놀이와 배치기 소리」
일곱 1998 한음사이의「시나위 합주」박동매의「남도 들노래」이인호의「승무와 법고」강정열의「가야금 병창」장순향무용단의「동래학춤」전북도립국악원 무용부'풍장패'의「사물놀이」
여덟 1999 전주시립민속예술단의「남도 굿거리」김인옥의「못방구 소리」나금추의「우도농악 상쇠춤」유명철의「좌도농악 상쇠춤」이성근의「판소리 열사가」강낙승과 아리향제줄풍류 보존회의「뒷풍류」정창환·정기환의「고창농악 소고춤·설장고춤」순창인계초등학교 도드래기의「사물놀이」
아홉 2000 전북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부의「시나위」박갑근의「익산목발노래」박복남의「판소리 수궁가」강정렬의「아쟁산조」장금도의「살풀이」유명철의「호남좌도 상쇠춤」
2001 임산본의 평시조「엮음지름」김무길의「거문고 산조」나금추의「전라우도농악 상쇠춤」유영애의「심청가」고창농악보존회의「고창농악과 고깔소고춤」채향순무용단의「향발무 장고춤 키춤 엿가락춤 모듬북 소고춤」
열 하나 2002 전북도립국악관현악단의「남도 시나위」김광숙의「예기무」최갑선의「독경」심홍재·임택준의「퍼포먼스」장일암·이석정·김혜정·박혜안의「승무」「이리향제줄풍류·시조창」유영애의「심청가」서영호의「아쟁산조」조영자·조희정·조혜리의「남도민요」「최상화 음악회」천지소리의「비나리와 판굿」장인숙 무용단의「춤·소리 어울림」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풍물반의「삼도 설장고」재즈M과 천지소리의「퓨전타악」「대동타악」
열 둘 2003 춤패 “연” 「삼고무와 타악」도립국악관현악단의「시나위」장금도의 「살풀이」강정열의 「가야금병창」순창금과 들소리 보존회의 「순창금과 들소리」박복남의 판소리 「수궁가」유명철의 「호남좌도 상쇠춤」
열 셋 2004 전라 좌 우도 풍물굿의 만남(전라우도 진안 중평굿 보존회, 전라좌도 고창농악보존회)
서울 특별공연 2004 김무길(거문고) 이일주(판소리) / 강정열(가야금 병창) / 정창환·박용하(고깔소고춤) / 장금도(살풀이) / 유명철(전라좌도 상쇠춤) / 나금추(전라우도 상쇠춤) / 전북도립국악원 시나위 (조재수,김계선,황은숙,한정순,김은주,양순주)
열 넷 2005 ‘스승과 제자, 전승과 창조의 아름다움’
퓨전그룹 오감도(거문고) / 최승희·모보경(판소리) / 강정렬·주정수(가야금) / 나금추·조상훈(전라우도 상쇠춤)
열 다섯 2006 ‘스승과 제자, 전승과 창조의 아름다움’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 타악팀(삼도설장고) / 이일주·장문희(판소리) / 윤화중·위은영(거문고) / 문정근(전라 삼현승무) / 이생강·이항윤(대금)
서울 특별공연 2006 ‘스승과 제자, 전승과 창조의 아름다움’
전라북도립국악원 시나위팀(시나위) / 김일구(판소리) / 유지화(호남우도 상쇠춤) / 강정렬(가야금 병창) / 김광숙(예기무) / 임실필봉농악보존회(영산굿)
열 여섯 2007 ‘명인, 고향을 만나다’
전주국악실내악단 - 연주곡목: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삼산은 반락, 흥타령, 개구리타령, 소리: 박미선(전북도립국악원 교수)/ 국수호 - 神舞, 입춤 / 김일륜 -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 왕기석 - 단가_백발가, 판소리_심청가 중 '심봉사 눈 뜨는 대목'/ 최상화 -‘서용석류’대금산조 / 한벽예술단 - 전라도의 판, 놀이
남원특별공연 2008 양진환 전라좌도 설장고 / 정은혜 정정렬제 춘향가 중 옥중가 / 황갑도 심청가중 ‘심봉사 눈뜨는 대목’ / 박달님 최옥산류 가야금산조 / 위은영 한갑득류 검누고 산조 / 조상훈 전라우도 상쇠춤
열여덟 2009 전주 학춤-김경주, 이은하 │장녹운류 살풀이-이유미│전라삼현승무-문정근 │(이상 산조전통무용단) 예기무-김광숙│최선류 살풀이-장인숙│전주검무-금파무용단
열아홉 2010 ‘산조, 그 흥에 취하다’
최옥삼류 가야금산조-조선옥│한갑득류 거문고산조-유소희│이생강류 대금산조-이항윤│한범수류 해금산조-오정무│박병천류 진도북춤-염현주│호남산조춤-김명신
스물 2011 ‘산조, 그 흥에 취하다’
최옥삼류 가야금산조-조선옥│한갑득류 거문고산조-유소희│이생강류 대금산조-이항윤│한범수류 해금산조-오정무│박병천류 진도북춤-염현주│호남산조춤-김명신
스물하나 2012 ‘대를 잇다’
호남우도 부포춤- 이명훈│판소리 동초제 춘향가 중 ‘오리정 이별 대목’- 장문희│민살풀이-정경희│김일구류 아쟁산조-김도현│성금연류 가야금 산조-김귀자│대동놀이-고창농악보존회
스물둘 2013 심청가 중 ‘심봉사 황성 올라가는 대목’ -박지윤│한갑득류 거문고산조-위은영│전통타악 -동남풍│이화춘풍, The road, 도라지 -공연단 마실│가야금 연주자 백은선& 기타리스트 안태상 -Scarbrough Fair, 보헤미안│신춘향가, 함께 가자 -인디밴드 스타피쉬& 명창 이용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