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당의 공연기획은 시민과 함께하는 공연, 일상 속에서 즐기는 공연,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공연을 지향해왔습니다.
1989년 김명곤 창작판소리 <금수궁가>를 시작으로 김덕수 사물놀이, 노래를 찾는 사람들,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등 새로운 공연문화를 이끌어가는 공연자들을 전북지역에 소개했습니다. 1992년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전라도 전통공연예술의 산실이자 실력 있는 명인들을 발굴해 온 공연입니다. 1997년 시작된 가을날의 뜨락음악회는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연입니다. 2011년 시작한 목요공연은 일상 공간에서 즐기는 공연을 주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1989년 김명곤 창작판소리 <금수궁가>를 시작으로 김덕수 사물놀이, 노래를 찾는 사람들,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등 새로운 공연문화를 이끌어가는 공연자들을 전북지역에 소개했습니다. 1992년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전라도 전통공연예술의 산실이자 실력 있는 명인들을 발굴해 온 공연입니다. 1997년 시작된 가을날의 뜨락음악회는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연입니다. 2011년 시작한 목요공연은 일상 공간에서 즐기는 공연을 주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1991년 전라도의 숨어있는 명인들을 발굴하는 무대로 기획되었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명인들을 찾아 그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조명 받게 했으며 전통의 계승 뿐 아니라 자유로운 창작 정신을 발휘하는 예술무대를 꾸려왔습니다.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과거와 오늘, 내일이 연대하고 교류하는 우리 문화의 의미 있는 무대로 그 정체성을 지켜가고 있습니다.
연혁
열 | 2001 | 임산본의 평시조「엮음지름」/김무길의「거문고 산조」/나금추의「전라우도농악 상쇠춤」/유영애의「심청가」/고창농악보존회의「고창농악과 고깔소고춤」/채향순무용단의「향발무 장고춤 키춤 엿가락춤 모듬북 소고춤」 |
아홉 | 2000 | 박갑근「익산목발노래」/박복남「판소리 수궁가」/강정렬「아쟁산조」/장금도「살풀이」/유명철「호남좌도상쇠춤」/「시나위 합주」(전북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부) |
여덟 | 1999 | 전주시립민속예술단 「남도 굿거리」 /김인옥 「못방구 소리」 /나금추 「우도농악 상쇠춤」 /유명철「좌도농악 상쇠춤」 /이성근 「판소리 열사가」 /강낙승과 아리향제줄풍류 보존회 「뒷풍류」 /정창환․정기환 「고창농악 소고춤․설장고춤」 /순창인계초등학교 도드래기 「사물놀이」 |
일곱 | 1998 | 박동매「남도 들노래」/이인호「승무와 법고」/강정열「가야금 병창」/장순향무용단「동래학춤」/전북도립국악원 무용부 풍장패「사물놀이」/「시나위 합주」(한음사이) |
여섯 | 1997 | 박판열「설장고」/유명철「상쇠놀음」/양태옥「쌍채북춤」/박복남「수궁가」/전북도립국악원 무용단「풍물소리와 춤」/김상원․장영수․이종순「위도 띠뱃놀이와 배치기 소리」/「시나위 합주」(소리샘) |
다섯 | 1996 | 조공례「남도 들노래」/금파 김조균「한량춤」/한애순「흥보가」//박미진․박수량․박현희의「춤본Ⅱ」/「시나위 합주」(전태준(대금), 강정열(아쟁), 김유앵(장고), 한정순(거문고), 김계선(가야금)) |
넷 | 1995 | 이인수「설장고」/유지화「쇠놀음」/강송대「전라도육자배기」/양태옥「쌍채북춤」/장녹운「살풀이」/우석대 김경주 무용단「소고춤」/「시나위 합주」(전태준(대금), 강정열(아쟁), 이성근(장고), 한정순(거문고), 김계선(가야금)) |
셋 | 1994 | 박판열「설장고」/홍유봉「채상소고춤」/전금순「씻김굿」/장금도「살풀이」/김준영․원두희씨 외 80여명의「임실 상여소리」/「시나위 합주」(전태준(대금), 강정열(아쟁), 이성근(장고), 한정순(거문고), 김계선(가야금)) |
둘 | 1993 | 김광숙「살풀이」/김봉열「상쇠춤」/김옥순․김영례「민요」/일암 장상철 스님「범패」/봉서사「영산작법」/박병천「북춤」/「시나위 합주」(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이종대(태평소), 김방현(대금), 박한영(장고), 이태백(아쟁)) |
하나 | 1992 | 전태준(대금) 강동일(거문고) 이성근(장고) 강정열(아쟁) 정회천(가야금)의「시나위 합주」나금추의「상쇠춤」김이월의「한량춤」김용순의「소고춤」장녹운의「살풀이」황귀언(설장고)·유만종(소고)·강대홍(소고)의「고창농악 설장고와 소고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