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당의 공연기획은 시민과 함께하는 공연, 일상 속에서 즐기는 공연,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공연을 지향해왔습니다.
1989년 김명곤 창작판소리 <금수궁가>를 시작으로 김덕수 사물놀이, 노래를 찾는 사람들,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등 새로운 공연문화를 이끌어가는 공연자들을 전북지역에 소개했습니다. 1992년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전라도 전통공연예술의 산실이자 실력 있는 명인들을 발굴해 온 공연입니다. 1997년 시작된 가을날의 뜨락음악회는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연입니다. 2011년 시작한 목요공연은 일상 공간에서 즐기는 공연을 주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1989년 김명곤 창작판소리 <금수궁가>를 시작으로 김덕수 사물놀이, 노래를 찾는 사람들,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등 새로운 공연문화를 이끌어가는 공연자들을 전북지역에 소개했습니다. 1992년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전라도 전통공연예술의 산실이자 실력 있는 명인들을 발굴해 온 공연입니다. 1997년 시작된 가을날의 뜨락음악회는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연입니다. 2011년 시작한 목요공연은 일상 공간에서 즐기는 공연을 주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1991년 전라도의 숨어있는 명인들을 발굴하는 무대로 기획되었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명인들을 찾아 그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조명 받게 했으며 전통의 계승 뿐 아니라 자유로운 창작 정신을 발휘하는 예술무대를 꾸려왔습니다.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은 과거와 오늘, 내일이 연대하고 교류하는 우리 문화의 의미 있는 무대로 그 정체성을 지켜가고 있습니다.
연혁
스물여덟 | 2019 | 산조의 밤 Ⅴ : 시대의 경계를 허무는 산조, 다시 꽃피다 이항윤(단소 송혜진, 대금 정재민 / 이생강류 대금산조, 대금이중주 ‘전라삼현육각 농삼현’, 대금, 단소 2중주 ‘천년만세’) / 이동훈(해금 김승태 / 지영희류 해금산조 전바탕, 해금 2중주 경기민요 연곡) / 김일륜(가야금 한향희, 박경선 / 신관용류 가야금산조, 25현 가야금 3중주 ‘가야송’) |
스물일곱 | 2018 | 산조의 밤 Ⅳ : 허튼가락, 경계를 허물다 김일륜(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 권민정(임동식 거문고 산조, 거문고 독주곡 ‘푸리’) / 서정미(원장현류 대금산조, 길은 그리움을부른다) / 장지연(지영희류 해금산조 짧은 산조, 悲, 천년만세, 아리랑, 달빛조차 몸을 사리는데) / 신성운(김일구류 아쟁산조, 중아쟁과 가야금을 위한 이중주 ‘끌림’) |
스물여섯 | 2017 | '산조의 밤 III : 허튼가락, 경계를 허물다' 왕기석(판소리 박초월제 수궁가 눈대목) / 이동훈(비, 지영희류 해금산조) / 김일구(김일구류 아쟁산조) / 서수진(김일구류 아쟁산조) / 이혜인(최옥산류 가야금산조) / 조진용(지영희류 해금산조) |
스물다섯 | 2016 | '산조의 밤 II : 허튼가락, 경계를 허물다' 김성아(서용석류, 지영희류 해금산조)/해금합주‘아리랑’, 오경자, 오경희, 임영란, 서수복(신쾌동류 거문고산조, 거문고 가야금2중주 ‘일월살풀/거문고2중주’우현의꿈‘/거문고피아노2중주’꿈속에서) |
스물넷 | 2015 | '산조의 밤 I : 허튼가락, 경계를 허물다' 원장현(원장현류 대금산조)/ 김일륜(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이태백(박종선류 아쟁산조)/ 원완철(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스물셋 | 2014 | '슬픔은 힘이 되고' 김무길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김광숙 (예기무)/ 이태백 (박종선류 아쟁산조)/ 안숙선(춘향가 중 ‘동원 경사대목’)/ 김일륜(신관용류 가야금산조)/ 동남풍(삼도농악가락) |
스물둘 | 2013 | '창조의 오늘 전통의 미래' 위은영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박지윤 (심청가 중 ‘심봉사 황성 가는 대목’)/ 동남풍 (삼도풍물가락)/ 백은선&안태상(동·서양 현의 만남)/ 공연단마실(이화춘풍, The road, 도라지)/ 스타피쉬&소리꾼 이용선(신춘향가, 함께 가자) |
스물하나 | 2012 | ‘대를 잇다’ 호남우도 부포춤- 이명훈│판소리 동초제 춘향가 중 ‘오리정 이별 대목’- 장문희│민살풀이-정경희│김일구류 아쟁산조-김도현│성금연류 가야금 산조-김귀자│대동놀이-고창농악보존회 |
스물 | 2011 | ‘명인, 그들’ 김무길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 이생강 (이생강류 대금 산조)/ 김광숙 (예기무 수건춤)/ 김일륜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안숙선(춘향가) |
열아홉 | 2010 | ‘산조, 그 흥에 취하다’ 최옥삼류 가야금산조-조선옥│한갑득류 거문고산조-유소희│이생강류 대금산조-이항윤│한범수류 해금산조-오정무│박병천류 진도북춤-염현주│호남산조춤-김명신 |
열여덟 | 2009 | '전북 춤찾기 I' 전주 학춤-김경주, 이은하 │장녹운류 살풀이-이유미│전라삼현승무-문정근 │(이상 산조전통무용단) 예기무-김광숙│최선류 살풀이-장인숙│전주검무-금파무용단 |
열일곱 - 남원특별공연 | 2008 | 양진환 전라좌도 설장고 / 정은혜 정정렬제 춘향가 중 옥중가 / 황갑도 심청가중 ‘심봉사 눈뜨는 대목’ / 박달님 최옥산류 가야금산조 / 위은영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 / 조상훈 전라우도 상쇠춤 |
열 여섯 | 2007 | ‘명인, 고향을 만나다’ 전주국악실내악단 - 연주곡목: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삼산은 반락, 흥타령, 개구리타령, 소리: 박미선(전북도립국악원 교수)/ 국수호 - 神舞, 입춤 / 김일륜 -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 왕기석 - 단가_백발가, 판소리_심청가 중 '심봉사 눈 뜨는 대목'/ 최상화 -‘서용석류’대금산조 / 한벽예술단 - 전라도의 판, 놀이 |
서울 특별공연 | 2006 | '춤과 가락 그 신명의 멋' 김일구(판소리) / 유지화(호남우도 상쇠춤) / 강정렬(가야금 병창) / 김광숙(예기무) / 임실필봉농악보존회(영산굿)/「시나위 합주」(전북도립국악관현악단) |
열 다섯 | 2006 | ‘스승과 제자, 전승과 창조의 아름다움’ 전라북도립국악원 무용단 타악팀(삼도설장고) / 이일주·장문희(판소리) / 윤화중·위은영(거문고) / 문정근(전라 삼현승무) / 이생강·이항윤(대금) |
열 넷 | 2005 | ‘스승과 제자, 전승과 창조의 아름다움’ 퓨전그룹 오감도(거문고) / 최승희·모보경(판소리) / 강정렬·주정수(가야금) / 나금추·조상훈(전라우도 상쇠춤) |
서울 특별공연 | 2004 | 김무길(거문고) 이일주(판소리) / 강정열(가야금 병창) / 정창환·박용하(고깔소고춤) / 장금도(살풀이) / 유명철(전라좌도 상쇠춤) / 나금추(전라우도 상쇠춤) / 전북도립국악원 시나위 (조재수,김계선,황은숙,한정순,김은주,양순주) |
열 셋 | 2004 | '전라 좌 우도 풍물굿의 만남' 전라우도 진안 중평굿 보존회, 전라좌도 고창농악보존회 |
열 둘 | 2003 |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 눈대목' 춤패연「삼고무와타악」/장금도「살풀이」/강정열「가야금병창」/순창금과들소리보존회「순창금과들소리」/박복남「수궁가」/유명철「호남좌도 상쇠춤」/「시나위 합주」(전북도립국악관현악단) |
열 하나 | 2002 | 김광숙의「예기무/최갑선의「독경」/심홍재․임택준의「퍼포먼스」/장일암․이석정․김혜정․박혜안의「승무」「이리향제줄풍류․시조창」/유영애의「심청가」/서영호의「아쟁산조」/조영자․조희정․조혜리의「남도민요」/「최상화 음악회」천지소리의「비나리와 판굿」/장인숙 무용단의「춤․소리 어울림」/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풍물반의「삼도 설장고」/재즈M과 천지소리의「퓨전타악」「대동타악」/「남도 시나위」(전북도립국악관현악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