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당에서는 문화저널 발간을 통해 축적한 자료와 인적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 연구 사업을 진행해왔습니다. 지역 사회문화예술계의 뜨거운 이슈를 놓고 토론하는 ‘수요포럼’과 축제평가보고서, 전주관광자원 연구조사 등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역사, 예술, 미디어 등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교육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문화기획자 양성의 요람 역할을 해온 ‘문화기획아카데미’를 비롯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춘 다방면의 ‘시민문화강좌’를 진행하였습니다.

지역의 또 하나의 창으로 문을 연 마당수요포럼은 다양한 가치와 변화가 요구되는 21세기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준비하는 적극적 참여와 실천적 활동입니다. 다양한 문화현상과 지역의 현안을 놓고 갑론을박 치열한 토론이 벌어지는 ‘수요포럼’은 전북의 문화를 새롭게 열어가는 ‘힘’입니다.

연혁
127회 | 2013. 08 | 지리산 둘레길, 안녕하십니까? |
126회 | 2013. 07 | 비평과 담론이 사라진 전북 문화 |
125회 | 2013. 06 | 전북 문화계, 갑을관계를 이야기하다 |
124회 | 2013. 05 | 청년감독들, 한국영화를 말하다 |
123회 | 2013. 04 | 덕진공원, 시민의 공간이 되기 위하여 |
122회 | 2013. 03 | 전북 문화예술협동조합, 어떻게 싹틔울까 |
121회 | 2013. 02 | 전북민예총, 희망의 물꼬를 트자 |
120회 | 2013. 01 | 한국전통문화전당 어떻게 채울까 |
119회 | 2012. 12 | 전북에서 앱개발자로 산다는 것은 |
118회 | 2012. 11 | 한옥자원활용 야간상설공연의 성과와 과제 |
117회 | 2012. 10 | 대동제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말하다 |
116회 | 2012. 09 | 전통시장 활성화, 문화가 답인가 |
115회 | 2012. 08 | 원도심교육공동체의 역할과 과제 |
114회 | 2012. 07 | 전북의 문화복지인력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
113회 | 2012. 06 | 음식창의도시 전주, 의의와 과제 |
112회 | 2012. 05 | 대학 인문․예술교육의 내일을 말하다 |
111회 | 2012. 04 | 익산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북의 전략은? |
110회 | 2012. 03 | 내일을 위한 선택, 19대 총선 문화정책 점검 |
109회 | 2012. 02 | 전북문화의 가치, 관광사업으로 말한다 |
108회 | 2012. 01 | 전북 문화예술의 거리, 어떻게 만들어지나 |